문학은 고양이를 이겨야 한다 Literature should win cats.
윤유리 Yuri Yoon
(서비스 기획자 App Product Manager)
nextlifekoala@gmail.com / @draggingkoala
After typing seven “Hellos,” twenty-eight “Thank-yous,” and forty-two “Okays” for a full day, finally I get into a taxi late at night. Will I be at home by the last minute of the day? Thoughts flash past with the taxi lights. I’m figuring out 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cleaning my cat’s litter-tray, washing my face and crossing the items off today’s to-do-list, when suddenly my thoughts stray to a dangerous subject: the meaning of my life. Perhaps, I think,I should focus on what I love. But today there is no time for books. I love novels. In the vacation season, I choose different novels to read on flights and in cafes. Every time I ask other people about their favorite recent novel, as soon as I hear the familiar answer “I haven’t read anything in a while”, I try to forget it. Because my selfish stupid head cannot bear it that other people don’t like novels. However, how sincere is my love towards them really? If a novel could hold my shoulder and ask, “If you truly love me, surely you can’t lose any part of your affection towards me?” I would answer as if I’m looking again at my young college boyfriend:
Just as passionate romance becomes awkward after 25, friendly suggestion works better than crazed seduction when life is tiring and repetitive. We can tempt our imaginations with complex world-building or heroic themes, but this doesn’t resonate with everyday life. Although I can only choose online pulp if I want to, my inner literary girl doesn’t feel ashamed anymore. Anyway, after around 100 years, I have no doubt that middle-aged professors with solemn expressions will give lectures about the value of web novels along with the classics. I shouted with joy when Gone Girl came out. Why? Because I sought my own revenge plan similar to Emily’s. My company had a messenger window where people type something every few months. When Joys and Sorrows of Work won a literary award, I remember that a link to the novel appeared there. All the bad experiences of everyone’s work life was in the book. An easy and accessible story -- what’s wrong with that? The word and the world have been invaded by the internet, and all media must compete with cat memes. Let’s give ourselves a real challenge. Novels should be awarded with cats. I’m living with one, and it’s never easy.
“Of course I love them.” And after three seconds, “But…”

오늘도 7번의 안녕하세요, 28번의 감사합니다, 42번의 넵넵을 타이핑한 하루가 끝나고 늦은 밤 퇴근 택시를 탔다. 이 날의 마지막 분초를 집에 가서 맞을 수 있을까. 생각들이, 택시의 숫자와 함께 깜빡인다. 집에 가서 고양이 화장실을 치우고, 세수를 하고. 오늘의 해야 할 일과 각각에 소요될 최소 시간을 계산하다가 문득 삶의 의미라는 위험한 주제에까지 생각이 다다를 때쯤, 그래도 나는 소설을 사랑하니까. 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역시나, 이런 날에 집에 가서 책을 펼칠 수는 없다. 나는 소설을 사랑한다. 휴가 때마다 비행기용과 카페용 소설을 따로 고른다. 매번 주위 사람들에게 요즘 재미있는 소설이 뭔지 묻고, 소설 안 읽은지 오래됐는데 라는 익숙한 대답도 듣자마자 잊어버린다. 이기적이고 멍청한 나의 뇌가 무의식적으로 인간이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상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지만 나의 사랑이 이렇게 진실하다 해도 소설분이 내 어깨를 잡고서, 진정 사랑한다면 어떤 경우에라도 백퍼센트의 애정을 잃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는다면, 나는 어린 대학생 남자친구의 얼굴을 바라보듯 말하겠지.
우리네 삶에 격정적 로맨스 같은 건 스물다섯 살 이후론 조금 곤란해졌듯, 일상이 피로할 수록 반복될 수록 미친 유혹보다 다정한 제안이 좋다. 설정을 이해하기에만 삼십 분쯤 필요한 상상력 자랑 대잔치나 영웅의 대서사시 같은 것을 매일에 섞을 수는 없어. 그 대신에 내가 찾을 수 있는 선택지의 끝이 네이버 웹소설이라 해도, 내 안의 문학소녀는 이제 더 이상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어차피 100년쯤 지나면 근엄한 표정을 지은 중년들이 <규방문학의 의의> 다음 시간에 <네이버 웹소설의 의의>를 강연하고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기에. <나를 찾아줘>가 등장했을 때에 환호했었다. 왜? 에밀리가 세웠던 복수 계획을 나도 절반쯤은 세웠었으니까. 올해 신인문학상에 <일의 기쁨과 슬픔>이 당선 됐을 때, 분기별 한 번쯤 울리는 회사 카톡창에 창비 웹사이트 링크가 던져진 것을 기억한다. 다들 회사에서 겪는 지랄이 거기 있었으니까. 쉽고 편한 이야기? 그게 뭐가 어때서. 어차피 이렇게 인터넷이 잠식한 세상, 모든 매체들은 고양이 짤과 싸워야 하는 것 아닌가. 목표를 높게 가지자. 소설은 고양이를 이겨야 한다. 나는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그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사랑하지" 그리고 3초 후, "그런데…."